제품 - 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
좋은 시장에, 그 시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갖고 있는 것
- 제품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가설 입증이 되는지!
관련 지표
1) 리텐션 (Retention rate)
- 사용자들이 특정 서비스에 얼마나 꾸준히 남아서 활동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PMF 만족시, 초기 일정 기간이 지나면 그래프의 기울기가 완만해지면서 리텐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패턴
2) 전환율(Conversion rate)
-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사용자의 비율
3) 순수 추천 지수(Net Promoter Score, NPS)
-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서비스의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
- (적극적 추천 그룹 - 비추천 그룹) / 전체 응답자
AARRR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흐름을 기반으로 고객 유치(Acquisition), 활성화(Activation), 리텐션(Retention), 수익화(Revenue), 추천(Referral) 다섯가지 카테고리를 정의하고 각 카테고리에서 핵심이 되는 지표를 발굴하고 이를 측정/개선하는 지표 관리 방법론
느낀점
실 데이터를 직접 보며 액션을 취해보기 위해 블로그를 운영했다.
블로그 방문자수를 늘린다는 목표를 갖고 있었다.
실 데이터를 보기 위해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동했고 나름 액션도 세워보기 위해 주기적으로 글을 올리려 노력했다.
사실 생소한 단어들 천지였다. 모르는 것이 생길 때마다 알음알음 검색해서 알아갔고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꼈다.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점은 정말 알음알음 알았던 지식과 의문이 연결되고 이어졌다는 것이다.
나에게 조금 충격이었던 부분은 오가닉이라고 해서 자발적 유입 사용자가 아니였다는 것이었다.
할 수 있을 지 모르겠지만 블로그 내 지도를 삽입하면 카카오맵 후기로 등록이 되는데 카카오맵을 통해 들어온 사용자를 보고 싶었는데 그 방법을 찾지 못했다.(직접 유입)
구글 애널리틱스를 보며 지레짐작만 했었는데 미식별 유입을 줄이고 싶다.
어트리뷰션이라는 개념을 알게 됨으로써 고려해야할 부분이 많다는 걸 느꼈다.
혼자 공부하면서 '성공의 기준'을 세운다는 게 참 어려웠는데 어트리뷰션을 배우면서 고객 입장도 고려하고 채널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느낄 수 있었다.
'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벨챌 4기 그로스 해킹 (2) | 2024.1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