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챌린지

회고록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회고...

요즘에 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하면서 두더지 게임을 하는 것 같다. 하나를 해결하면 다른 하나가 문제가 생겨버리는...프롬프트를 잘 짜기 위해서 블로그도 읽어보곤 했는데 쉽지 않았다.프롬프트에 대해 계속 검색해서 그런가.자연스럽게 내 유튜브 알고리즘이 '프롬프트' 영상을 보라고 추천해준다 ㅎㅎ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잘할려면 다른 분들이 열심히 연구한 논문을 읽어야 하나 싶은데 일단은 다른 분들이 간략히 적어주신 방법을 먼저 따라보기로 했다.전처리마저 프롬프트한테 예시를 보여주며 시간을 깎아먹었는데 내가 내린 결론은 그냥 전처리를 내가 잘해서 줘야 얘가 잘 알아들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일 해보고 개선 결과를 봐야할 것 같다.(너무 프롬프트만 믿은 것 같기도...) 오늘 내가 했던 삽질은 이렇다...

회고록

자동화와 LLM 공부

요즘 업무 자동화가 유행인 건 어느정도 알고 있었다.현재의 나는 업무 자동화가 너무나도 필요한 업무를 하고 있다.지난 주에 특정 명령어를 만드는 일을 했었는데 처음에는 그냥 수기로 하나하나를 만들었다.그렇게 했더니 200개에 가까운 데이터에 대해 하루종일 반시간이나 걸렸다.과연 이게 맞을까? 싶을 만큼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느꼈다.그래서 생각헀던 것은 파이썬으로 어느 정도 틀을 세워서 명령어를 여러 개 만드는 것이었다.안 짜본 종류의 코드라 좀 걸리긴 했는데 만들고 하니 하루만에 명령어를 쉽게 생성할 수 있었다.거의 50%이상 시간을 줄여낸 것 같다.명령어 틀을 대충 세워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문법상 안 맞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다.그렇게 코드를 만들고 나름의 최적화를 해보았다..

Data

데벨챌 4기 그로스 해킹 PMF AARRR 고객 유치

제품 - 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좋은 시장에, 그 시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갖고 있는 것- 제품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가설 입증이 되는지! 관련 지표1) 리텐션 (Retention rate)- 사용자들이 특정 서비스에 얼마나 꾸준히 남아서 활동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PMF 만족시, 초기 일정 기간이 지나면 그래프의 기울기가 완만해지면서 리텐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패턴 2) 전환율(Conversion rate)-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사용자의 비율 3) 순수 추천 지수(Net Promoter Score, NPS)-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서비스의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 (적극적 추천 그룹 - 비추천 그룹) / 전체 응답자..

Data

데벨챌 4기 그로스 해킹

데이터 분야에 관심을 갖던 중 '데이터리안'을 알게 되었고 내가 맘을 다 잡고 공부할 수 있는 데이터넥스트레벨챌린지를 알게 되어 이번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미 3기까지 진행된 상태였고 나는 4기부터 참여하게 되었다.이런 챌린지가 있는 줄 알았다면 진작에 참여했을 텐데 아쉬울 따름이다.단기적인 목표는 이번달에 데벨챌 4기를 무사히 완독하고 이전 기수에 했던 챌린지도 차례차례 읽어볼 생각이다. 전에 취업 공고를 여러 개 살펴봤었던 나는 '그로스 해킹'이라는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되었다.이 생소한 '그로스 해킹'이라는 단어를 이번 독서 챌린지를 통해 깊게 알아보고 싶다!